위치경기도 포천시 소홀읍 광릉수목원로 415
연락처031-540-2000
국립수목원은 광릉시험림의 천연림을 이용하여 수목원을 조성하였다.
수목원 내에는 산림에 관한 모든 자료를 전시한 산림박물관이 있다. 수목원과 박물관 공사는 1985년 10월 25일에 착수하여
1987년 4월 5일 개장하였고, 뒤를 이어 1989년 삼림욕장을 개장하였고, 1991년에는 산림동물원을 개원하여 산림에 대한 대국민
홍보에 지대한 역할을 하여왔다. 그러나 숲의 보존이 무엇보다 큰 문제로 대두되면서 1997년부터 삼림욕장을 폐쇄하였으며,
주말과 공휴일 입장을 제한하고 5일 전 예약제를 도입하여 1일 입장객을 5,000명 이하로 제한하였다.
또한, 식물 자원화를 위한 다양한 식물종의 확보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1999년 5월 24일에는
임업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수목원과에서 산림청 수목원으로 신설 개원되었다
국립수목원은 면적이 1,157㏊이며 침엽수원 관상수원 맹인식물원 등 15개의 전문수목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목의 종류는 목본류 1,660종, 초본류 1,323종 등 총계 2,983종이 있으며 이 중 도입종이 963종이다. 산림박물관은 동양 최대의
규모로서 면적이 1,400평이며 자연에 순응한 한국의 전통 양식으로 설계하고, 내부와 외부를 모두 국산의 목재와 석재로 마감하였다.
수목원 시설은 1전시실(살아있는 숲과 자원식물), 제2전시실(산림과 인간), 제3전시실(세계의 임업), 제4전시실(한국의 임업),
제5전시실(한국의 자연, 싸이버수목원) 표본실, 특별전시실, 시청각실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
연락처031-527-7105
홈페이지http://royaltombs.cha.go.kr/html/HtmlPage.do?pg=/new/html/portal_01_02_01.jsp&mn=RT_01_02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 1417~1468, 재위 1455∼1468)와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1418∼1483)의 무덤이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왕릉 최초로 왕과 왕비의 능을 서로 다른 언덕 위에 따로 만든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형식을 취하였고, 두 능의 중간지역에 하나의 정자각(丁字閣)을 세웠다. 세조의 유언에 따라 봉분 내부에 돌방을 만들지 않고 회격(灰隔; 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짐)으로 처리하였다. 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으며, 이전에 병풍석에 새겼던 12지신상은 난간석에 새겼다. 또 능역 아래쪽에는 홍살문에서 정자각에 이르는 길인 참도(參道)가 생략되어 있다. 이렇게 간소하게 능을 조성함으로써 부역인원과 조성비용을 감축하였는데 이는 조선 초기 능제(陵制)에 변혁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고, 이런 상설제도는 이후의 왕릉 조성에 모범이 되었다. 능 주위에는 문인석·무인석·상석·망주석·석호(石虎)·석양(石羊) 등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지도보기위치경기도 포천시 소홀읍 광릉수목원로 415
연락처031 - 540 - 2000
국립수목원은 광릉시험림의 천연림을 이용하여 수목원을 조성하였다. 수목원 내에는 산림에 관한 모든 자료를 전시한 산림박물관이 있다. 수목원과 박물관 공사는 1985년 10월 25일에 착수하여 1987년 4월 5일 개장하였고, 뒤를 이어 1989년 삼림욕장을 개장하였고, 1991년에는 산림동물원을 개원하여 산림에 대한 대국민 홍보에 지대한 역할을 하여왔다. 그러나 숲의 보존이 무엇보다 큰 문제로 대두되면서 1997년부터 삼림욕장을 폐쇄하였으며, 주말과 공휴일 입장을 제한하고 5일 전 예약제를 도입하여 1일 입장객을 5,000명 이하로 제한하였다. 또한, 식물 자원화를 위한 다양한 식물종의 확보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1999년 5월 24일에는 임업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수목원과에서 산림청 수목원으로 신설 개원되었다. 국립수목원은 면적이 1,157㏊이며 침엽수원 관상수원 맹인식물원 등 15개의 전문수목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목의 종류는 목본류 1,660종, 초본류 1,323종 등 총계 2,983종이 있으며 이 중 도입종이 963종이다. 산림박물관은 동양 최대의 규모로서 면적이 1,400평이며 자연에 순응한 한국의 전통 양식으로 설계하고, 내부와 외부를 모두 국산의 목재와 석재로 마감하였다. 수목원 시설은 1전시실(살아있는 숲과 자원식물), 제2전시실(산림과 인간), 제3전시실(세계의 임업), 제4전시실(한국의 임업), 제5전시실(한국의 자연, 싸이버수목원) 표본실, 특별전시실, 시청각실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보기위치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967
연락처031-543-3600
'더 파크 아프리카뮤지엄'은 아프리카 문화를 주제로 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2006년 6월 26일 '아프리카 예술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가 이후, 2015년 4월 '더 파크 아프리카뮤지엄' 이라는 이름으로 재개관하였다.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 인근에 있으며 부지면적은 약 3만 3,050m² 이다.
탄자니아·케냐·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대륙의 약 30개국, 150여 부족에게서 수집한 3,700여 점의 유물과 예술작품, 민예품을 소장하는 박물관과 야외전시장을 비롯하여 공연장·체험학습장·산책로와 연못 등이 조성되어 있다.
3개의 대형전시실과 영상관, 박제관으로 꾸며진 박물관에는 아프리카의 성인식·혼인식·장례식 등의 제례의식과 왕실 및 족장에 관련된 유물, 사냥 및 전쟁 관련 용품, 악기, 각종 생활용품을 비롯하여 300여 점의 가면, 마콘데족·쇼나족 등의 목조각품·석조각품, 회화작품, 동물박제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외부의 넓은 잔디밭 곳곳에도 수많은 조각품들이 배치되어 있다.
조각은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모양이 주를 이루고 있어 피카소와 같은 세계적인 거장들에게 영감을 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뿐만 아니라 유럽귀족의 대표 소장품으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조각상이 이곳에는 컨테이너로 수십 개 분량.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금강로 2536번길 27
연락처031-540-5000
서울에서 50분, 수도권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스키리조트의 선두주자인 베어스타운은 국내레져업계 최초로 ISO 인증을 받은 고객중심의 품질 및 서비스 경영중심의 종합레져타운입니다. 새롭게 리모델링한 타워콘도, 빌라콘도, 유스호스텔 등 총 581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페테리아, 탁구장 등 고객 편의를 위한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강의 시설과 첨단교육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기업체 연수 장소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9홀 퍼블릭, 골프연습장 등의 스포츠 시설과 관광리프트, 전동카트장 등의 액티비티 활동을 즐기 실 수 있는 4계절 종합 휴양지 베어스타운입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포화로 236-24
연락처031-538-3363
홈페이지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
포천군 이동면에 위치한 백운계곡은 광덕산과 백운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흘러내리는 맑고 깨끗한 물이 모여 이룬 골짜기로서 선유담에서 아름다운 극치를 이루고 있다.이곳에는 신라시대 창건했다는 흥룡사가 있으며, 흥룡사 뒤쪽에는 약 1km의 선유담 비경이 펼쳐져 있다. 계곡의 길이가 무려 10km나 되며 연못과 기암괴석이 한데 어울려 절묘한 아름다움을 빚어내고 있다. 광암정, 학소대, 금병암, 옥류대, 취선대, 금광폭포 등의 명소가 펼쳐진다.
백운에서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인 광덕고개를 넘으면 광덕계곡이 이어진다. 백운계곡과 광덕 고개에 이르는 길은 주변경관이 아름다워 드라이브 코스로도 각광받고 있다. 파라솔, 그늘막, 캠프장 등의 편의시설이 있고 주변에는 국망봉, 산정호수, 광덕산 등의 관광지가 있어 함께 둘러보면 좋다.
위치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로411번길 79
연락처031-538-3363
홈페이지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23
포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산정호수는 병풍과 같은 웅장한 명성산을 중심으로 호수 양 옆에 망봉산과 망무봉을 끼고 있는 호수다. '산속의 우물과 같은 맑은 호수'라 해서 산정호수라 불리고 있으며, 1925년에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해 축조된 저수지인데, 주변경관이 수려해 수도권에서는 즐겨 찾는 관광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호수 주변의 산책로는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좋지만, 숙박을 하는 이들에게는 건강 산책 코스로 적합한 곳이다.
계절별로 봄, 가을 아침, 저녁에 피어오르는 호수의 물안개는 전설적이며 특히 저녁 무렵의 보트 놀이는 한 폭의 그림과 같다. 봄, 가을 명성산의 산행과 겨울철의 자연 그대로의 호수 빙판 위의 스케이팅은 스포츠를 즐기는 이가 많이 찾는 곳이며, 이외에도 놀이동산, 수영장, 눈썰매장, 온천 등이 개발되어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레저시설도 다양하다. 특히, 오랜 전통으로 빚어낸 음식 맛은 빼놓을 수 없으며 자연산 우렁이, 버섯요리와 민물고기 매운탕, 더덕구이, 산채백반, 도토리묵 등 각종 건강식품으로 불리는 음식 맛은 전국에서도 알아준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청신로571
연락처31-536-5025
홈페이지http://www.sinbukresort.co.kr/
수도권의 유일한 중탄산나트륨 온천으로 물 좋고 자연경관이 수려하기로 유명한 포천의 12개울에 자리 잡고 있어 서울 및 수도권지역에서 부담없이 온천욕을 즐기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온천욕을 하면서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 아이들을 위해 쾌적하고 안전한 파도풀, 유수풀, 바데풀 등의 물놀이 시설이 있다.
가족과 연인이 만끽할 수 있는 최상의 휴식공간으로 짜릿한 즐거움을 제공하는 워터슬라이드, 파도풀, 유수풀, 바데풀과 자연의 정취를 느끼면서 온천욕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스파시설 및 노천탕, 건/습식사우나, 황토방, 아이스방으로 피로의 지친 현대인들의 피로회복과 건강증진, 스트레스 해소등 온 가족이 함께 삶의 활력을 충전할 수 있는 곳이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아트밸리로 234
연락처031-538-3485
홈페이지http://www.artvalley.or.kr
포천아트밸리는 자연환경이 파괴된 채 흉물스럽게 방치되었던 폐채석장을 포천시에서 국내 최초로 문화와 예술로 치유하고 환경을 복원하여 복합 문화예술공간으로 2009년 개장하였습니다. 2014년 100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기획전시, 주말공연, 기획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또한 포천아트밸리 천문과학관에서는 무한상상 별나라 우주과학 체험의 명소로 2014년 8월1일 정식오픈 했으며, 놀이와 체험이 있는 우주 천체과학 전시관 및 최첨단 4D영상관과 별자리 체험이 가능한 천체관측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 산30
연락처031-532-1881
포천 산속 깊은 곳에 위치한 어메이징파크는 직접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과학 원리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학놀이터이다.
어메이징파크는 네이처존과, 사이언스존으로 나눌 수 있다.
네이처존에는 서스펜션브릿지, 히든브릿지, 에어링로드, 와인딩로드 등 다양한 이색다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언스존에는 어메이징파크 과학관, 어메이징스윙, 대형분수, 펜듈럼펌프, 솔라시스템 등 다양하고 거대한 공학기구들이 있는 과학관이 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포화로 123 (이동면)
연락처031-538-3363
홈페이지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9661
포천 8경 중 5경으로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이름 그대로 신선이 놀던 자리라고 하여 선유담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백운산 기슭을 끼고돌며 구비치는 영평천 상류 계곡으로 물빛이 푸르고 참 곱다. 물에 잠긴 깎아지른 암벽 그림자도 좋거니와 암벽에 반사되는 물빛도 아름답다. 암벽에는 선유담이라는 세 글자가 암각되어 있는데 이는 임진왜란때 양사언 선생이 썼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선유담 계곡은 10km가 넘는 길이에 계곡은 물이 맑으며 봄.가을로 신선하다. 특히 서쪽에서 동쪽으로 내려앉은 계곡은 벼랑과 울창한 숲을 등지고 있어 한나절 내내 계곡물에 해가 들지 않아 신선하기가 한층 더 깊다. 상류 계곡에는 10여 가구가 상주하고 있으며 민박과 음식점을 겸하고 있어 먹는 것도 크게 불편이 없다. 대부분이 토속 음식이지만 최근에는 레스토랑을 겸한 분위기있는 업소도 생기고 있다. 또 백운계곡으로 잠시 넘어가면, 유명한 이동갈비가 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우물목길 203
연락처031-531-7751
산정호수 입구에 위치한 평강식물원은 10만여 평의 면적에 한국 자생식물과 전세계의 식물 5,000여 종이 전시되어 있다.
동양 최대 규모의 고산식물이 모여있는 암석원을 비롯하여 자연생태를 재현한 습지원, 50여 개의 연못과 화려한 꽃들로 구성된 연못정원, 깊은 계곡이나 숲에서 자연 발생하는 이끼를 관찰할 수 있는 이끼원, 사철 푸르름을 뽐내는 잔디광장 등 12개의 테마원으로 구성된 종합식물원이다. 희귀식물 보존뿐만 아니라 자연생태학습장으로서 새로운 식물원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위치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로322번길 26-9 (영북면)
연락처031-533-8121
한가원은 국내최초로 한과를 테마로 세워진 한과문화박물관이다. 한과문화박물관에서는 한과의 역사와 유래, 한과의 제작도구 등 전시 설명과 유물전시 중심으로 한과에 대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한눈에 한과에 대한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다.
한과문화박물관 1층 전시실에서는 한과의 제작과정, 한과의 원재료, 한과의 역사, 한과의 다양한 종류(약과, 유과, 유밀과, 정과, 다식, 강정), 임금님 수라상, 명절과 일상의 한과 전시 등 한과의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 이해할 수 있다.
한과문화박물관 2층 전시실에서는 계절에 따른 한과, 전통차와 한과, 한과와 세계과자, 한과의 제작도구, 한과명인제도와 한과명인들, 포천한과 클러스터, 한과의 전국 분포도, 포천의 관광지, 한과의 우수성 등 한과의 전반적인 정보를 한눈에 습득 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한과문화박물관에서의 이론 교육을 통해 한과문화교육관에서의 체험을 용이하게 하며 쉽게 한과에 대해 배울 수 있다.